[더코리아저널 전주현 기자] 윤영석 국회의원(국민의힘 양산시 갑구, 기획재정위원회)이 24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세청에 대한 해킹 시도가 최근 5년간 이후 3만 건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동안 감소세를 보이던 공격이 지난해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사이버 보안 강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윤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국세청에 대한 해킹 시도는 총 2만9,462건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20년 6,106건, 2021년 4,849건, 2022년 4,227건, 2023년 3,053건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2024년 4,688건으로 반등했다. 올해는 8월까지 이미 6,539건이 집계돼 5년간 최대치를 기록했다.
공격 유형별로는 정보유출을 노린 시도가 1만2,53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정보수집(6,070건), 시스템 권한 획득(5,910건), 홈페이지 변조(1,826건), 비인가 접근(1,436건), 디도스 공격(1,413건) 순으로 나타났다.
국외 해킹 시도를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3,459건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1,644건), 필리핀(863건), 러시아(661건), 베트남(618건) 등이 뒤를 이었다. 기타 국가에서 발생한 공격은 6,423건에 달했으며, 국내 해킹 시도도 1만3,414건이나 집계됐다.
윤 의원은 “최근 사이버 공격이 국가 안보와 민생 전반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세청 역시 예외가 아니다”라며 “특히 올해 들어 8월까지 해킹 시도가 최근 5년 중 최다를 기록한 만큼, 국세청은 더 큰 경각심을 갖고 납세자 정보와 국가 재정 시스템을 지키기 위한 보안 역량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연도별 유형별 해킹 시도 건수>